격자체는 축열실의 축열과 전열의 중요한 구성부분으로서 격자벽돌은 고온에 견디고 침식에 견디며 축열이 많고 전열이 빠르며 급랭급열성에 잘 대처할것을 요구한다.
축열실의 축열 효과를 측정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격자체의 수열 면적 크기로 확정된다. 즉 격자체는 열교환을 할 수 있는 표면적이다.축열면적이 클수록 축적된 열량이 많아지고 방출열현상도 많아져 공기, 가스의 예열온도를 충분히 높일수록 연료의 연소에 유리하다.
축열실의 지붕, 위, 중, 저 몇 부위의 서로 다른 온도와 비행 재료의 다소에 따라 서로 다른 알칼리성 격자 벽돌을 채택한다.
상단 (1400 ℃ 이상) 은 온도가 높고 날림이 많기 때문에 벽돌체와 액상이 생기기 쉬우며, 이렇게 하면 날림이 쉽게 붙고 벽돌체에 응력이 생기기 때문에상단에는 고온에서 내연성이 매우 좋은 지르코늄 벽돌이나 98% 의 고순도 마그네슘 벽돌을 사용한다 (고순도 마그네슘 벽돌의 MgO와 비양이 축열실에 들어가는 배합재 초세분 SiO2가 반응하면 저온 공용물이 생성되기 때문에 비료에 들어가기 쉬운 1#3# 상단 격자는 대부분 지르코늄 벽돌을 사용하고 비료의 영향을 받지 않는 말단 축열실 격자는 98% 의 고순도 마그네슘 벽돌을 사용한다).
상부 (10001400 ℃) 의 비행 재료는 비교적 적게 가라앉아 고순도 마그네슘 벽돌을 사용할 수 있다.
중부 (8001000 ℃) 의 비행 재료는 이미 매우 적지만, 그것은 황산염 응집 지역이며, 마그네슘 벽돌과 비행 재료가 반응하여 규산 마그네슘 (MgSiO3) 을 형성하기 쉽고, 동시에 재료 중의 망초 반응 과정과 연료 연소 과정에서 형성된 SO2, SO3도 산화 마그네슘과 반응하기 쉽다:
MgO+SO2→MgSO3 MgO+SO3→MgSO4
생성된 황산 마그네슘이나 아황산 마그네슘은 반복적으로 고액화되어 부피가 팽창하여 마그네슘 벽돌 구조가 파괴되기 때문에 이 부위는 열 안정성이 좋고 기공률이 낮은 직접 결합 마그네슘 크롬 벽돌 (DMC-12) 을 선택한다 (환경 보호 요구가 높은 지역에서는 마그네슘 크롬 벽돌을 사용할 수 없으며, 사각 마그네슘 + 마그네슘 올리브 벽돌을 자주 사용한다).
밑부분 (800 ℃ 이하) 의 온도는 냉열이 교체되고 하중이 중대하며 알칼리성 재료의 침식을 적게 받기 때문에 열 안정성이 좋고 하중 강도가 좋은 재료는 보통 저기공 점토벽돌 (DN-12, DN-13 또는 DN-15) 이나 실리콘선 벽돌을 사용한다.각종 알칼리성 벽돌의 성능을 고려하지 않고 두루뭉술하게 사용하면 격자체의 한 부위가 손상될 때 다른 격자체에 영향을 미쳐 전체 격자체의 수명을 떨어뜨린다.마그네슘크롬 벽돌을 포함한 대부분의 알칼리성 내화 벽돌은 분해 탄화수소가 함유된 분위기 (환원 분위기) 에서 쉽게 손상됩니다.따라서 알칼리성 벽돌은 공기 저열실에만 사용할 수 있고 가스 저열실에는 사용할 수 없다.
비료의 침식에 취약한 축열실 격자체에 대해 아래에서 위로 자주 사용하는 격자벽돌의 배치방식은 다음과 같다. 저기공에 벽돌 또는 규소선벽돌을 붙이거나 12% 크롬을 함유한 직접결합 마그네슘크롬벽돌 또는 마그네슘지르코늄벽돌 또는 마그네슘올리브벽돌 → 96% 고순도 전기용해 마그네슘벽돌 → 98% 고순도 전기용해 마그네슘벽돌 → 24층 마그네슘지르코늄벽돌 (VZ) 또는 소결 (VZ) 이다.투자를 절약하기 위해 비행재료의 침식이 비교적 적은 마지막 12쌍의 축열실 격자체에 대해 상단에는 마그네슘지르코늄벽돌을 사용하거나 지르코늄강옥벽돌을 소결하지 않고 직접 98% 의 고순도전용마그네슘벽돌코드를 상단에 쌓을수 있다.